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‘사랑, 행복, 나눔’의 비전으로 서로서로 건강한 행복공동체를 만들어, 사랑과 나눔을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.
제목 | 서천군, 명품 김 생산 다각적인 노력 기울여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작성자 | 전체관리자 | 등록일 | 2011-10-05 | 조회 | 879 |
등록일 | 2011-10-05 | ||||
첨부 |
![]() ![]() ?atchFileId=FILE_000000000093633&fileSn=0 지난 6일 서천군 김양식 어가에서 김양식분망을 위한 김채묘작업이 한창이다.1.JPG ![]() ![]() ?atchFileId=FILE_000000000093633&fileSn=1 지난 6일 서천군 김양식 어가에서 김양식분망을 위한 채묘작업이 한창이다.2.JPG |
||||
|
|||||
서천군, 명품 김 생산 다각적인 노력 기울여
지난 해 김 황백화로 240억 원의 피해발생 어장 관리 강력 지도 단속 및 주기적인 해수 분석 등 지난해 김 황백화로 큰 피해를 입은 서천군이 명품 김 생산을 위한 노력을 적극 기울이고 있다. 실제로 지난해 서천군 전체 김 양식 어장면적 3,200ha 중 약 84%인 2,675ha에 김 황백화가 발생해 240억여 원의 피해로 양식어가 및 김 산업에 막대한 타격을 입혔다. 군은 김 황백화 피해가 저수온 및 영양염 부족이 1차적 원인으로 판단하고 영양염을 대량 소비하는 규조류 출현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하는 등 적극적인 대처를 한다는 방침이다. 이와 관련 김 엽체 황백화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불법 김 양식 시설물과 밀식, 초과 시설 등에 대한 강력한 지도단속을 통한 어장 관리를 실시하며, 주기적인 해수 채취와 수질분석으로 해조류 바이오연구센터 등의 전문가 자문을 받아 향후 어장 관리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. 또한, 고품질 김 생산을 위해 유용미생물(EM)을 활용한 시험양식과 지주식 무산 김 시범어장 운영, 냉동망 사용 확대, 서천군 해역에 적합한 우량종묘 개발 시범양식 등도 추진한다고 밝혔다. 군관계자에 의하면 “불법시설, 밀식에 의한 조류소통 불량 등의 영양염 결핍이 김 황백화 원인의 1차적 요인으로 예상된다”며, “어업인 상생을 위해 스스로 불법시설과 밀식을 자제하고, 불법시설물에 대하여는 철저한 단속을 통해 관리를 철저히 하겠다”고 말했다. 서천군 올해 김 양식 규모는 3천 3백ha 면적에 350가구로, 생산예상량은 1천 2백만 속으로 알려졌다. 또한, 6일 현재 김 채묘율은 90%정도 진행된 상태로 다음주 중이면 모두 완료돼 이달 말까지 분망이 이뤄질 계획이다. 아울러, 해황 여건 및 기상 이변 등 특별한 악재가 없는 한 11월 20일 전후로는 올해 첫 김이 생산될 전망이다. |
이전 | |
---|---|
다음 |
본 저작물은 "공공누리" 제1유형:출처표시 (상업적 이용 및 변경 가능)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.